2914 번 글의 답장글: Re: 산이님 몇가지 답변좀 해주심 감사할게요^^ |
글쓴이: 산이
[홈페이지]
|
글쓴날: 2012년 03월 08일 11:38:41 목(오전) |
조회: 1214 |
[똘똘이]님이 남기신 글:
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>답변자가 기본적으로 참고할 내용입니다.
>- 배포판(옵션) : centos 6.2 64
>- 커널버전(옵션)
:
>- 데몬버전(예:apache
1.3.27) :
>- 데몬설치유형(RPM/컴파일/기타)
:
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>
>산이님
>
>몇가지 질문좀드릴게요
>
>시간 나실떄 답변좀 해주심 감사할게요^^:;
>
>
>
>1.
>초짜라 소스컴파일설치할때
이것저것 쓰지도않는
> 모듈들을 같이 컴파일시키고 구동했는데요
>깔떄는 뭔지도 모르고 남들이 인터넷에 올린글들 보고
>따라하다 이것저것 많이 깔았습니다
>그런데 그당시는 모르고 깔아서 깐건데요
>
>이젠 다시 정리하며 삭제는하고싶은데
>다른것들과의 의존성들도있고해서
>또 그냥 삭제하는게 두려워지는데요
>
>그래서 그런데
>혹시 저같은경우
>
>아파치의 httpd.conf 구동되고잇는모듈들과
php에 구동되는 모듈들을 php.ini에서
>
>모듈들 주석처리하는것만으로도
혹시 속도 향상을 기대할수있슬까요?
>
모듈을 가볍게 하면(로딩) 조금 나아지기는 하지만 큰 향상은
없습니다.
테스트 서버에서 충분히 더 테스트(공부)하신다음에
확실하다고 생각되는 모듈들은 로딩하지 않도록 주석처리해
주면 될것 같습니다
굳지 삭제까지 할 필요는 없고 나중에 다시 설치할 일이 생기면
그때는 아예 안쓰는 모듈은 빼고 설치하시면됩니다.
그리고 나중을 위해서 까먹지 쉬운 내용이나 조금 복잡한
내용는 메모(tip)해 놓은게 좋습니다. 저 같은 경우 이곳 홈피의
"알파문서"가
이런 취지입니다.
>
>2.
>
>사실 제가 지금 censtos를쓰는데여
>게시판을 무거운 xe를 돌리니까 사실 많이 무겁네요
>
>그래서 이걸 남들이 가볍다고하는 nginx를 쓸까도
고민중인데여
>
>요즘 제가 시스템속도에 신경쓰는데요
>
>리눅스 아파치를 깔고나서 속도향상을 기대할수있는 방법이
혹시 뭔가 있슬까요?
>
>인터넷에 보면
>
>nginx+php-fastcgi+Zend Optimizer
>
>와
>Lighttpd+eAccelerator+Zend Optimizer
>
>조합을 추천하는데요
>
>산이님 생각엔 어떤방법이
>
>리눅스나아파치
속도향상을 기대할수있다고
보시는지요?
>
Nginx 는 제가 써보지 않아서 잘 모릅니다. 로드밸런싱쪽에
많이 쓰고 있다는 정도입니다.
웹속도 성능을 위해서라면 다양한 튜닝 방법이 있습니다만
여기에서 다 언급하기에는 무리가 있고, 서버관리자 입장에서
튜닝이 가능한 몇가지 있습니다.
우선 웹서버의 caching 솔류션(eAccelerator,
Xcache...) 가장 큰 효과가 있습니다. 그리고 사실 Zend Optimizer 는
산술적인 연산에 아주 조금 효과가 있을뿐 일반적인
웹페이지에는 크게 도움이 안되더군요.
eAccelerator 보다는 Xcache 추천합니다. 전 회사에서 이녀석을 UCC
서비스(다음 네이버의... CDN 서비스)에 사용했는데 상당히(아주
많이) 만족했던 기억이 납니다. Apache2.x 와 lighttpd 에서도 궁합이
잘 맞습니다.
Apache2.x + Xcache
또는
lighttpd-fcgi + Xcache
Xcahe 는 웹페이지 캐싱뿐만 아니라 variable caching 도 가능하기
때문에 아래 memcached/memcache 와 비슷하게 구현도 가능합니다.
다만 variable caching 은 웹프로그래밍이
수반됩니다. 아주 자주 빈번하게 access 하는 DB 나 파일의
내용(잘 바뀌지 않는)을 Xcache 의 메모리에 올려놓고 메모리에
access 하는 방식입니다.
일례로 역시 전 회사에서 UCC 서비스에서 DB의 검색 결과 내용을
variable caching 하여(ttl 설정) DB 서버가 잠시 죽어도 서비스가
어느 정도 지속되게끔 했던 기억이 납니다. 당시 고객으로부터
상당히 호평을 받았던 기억이 나네요. ㅎㅎ
그 외의 솔류션으로 memcached 라는 것이 있습니다. php 에서는 pecl
형태로 제공하고 있습니다(지금도
pecl 인지는 모르겠네요).
>
>
>3. 저의 리눅스 centos에서
>
>
>
>전엔 몰랐는데 지금보니까
>
>drwxr-xr-x. 뒤에 . 이 붙어있더라고요
>
>
>
>
>다른서버엔 안그렇던데 drwxr-xr-x. 뒤에 . 이붙어있더라고요..
>
>이건 왜그런건가요?
>
>
>dr-xr-xr-x. 10 root root 4.0K Mar 4 08:51 lib
>drwxr-xr-x. 13 root root 4.0K Mar 4 08:49 usr
>drwx------. 2 root root 16K Mar 4 08:48 lost+found
>drwxr-xr-x. 2 root root 4.0K Sep 23 13:50 media
>drwxr-xr-x. 2 root root 4.0K Sep 23 13:50 mnt
>drwxr-xr-x. 2 root root 4.0K Sep 23 13:50 opt
>drwxr-xr-x. 2 root root 4.0K Sep 23 13:50 srv
>
>
ㅎㅎ 이건 저도 잘 모르겠네요. 크게 신경쓰지않아도
될듯 합니다.
>
>4.그리고 보안을위해 보안모듈도 생각하고있는데요
>
>보안상 과 속도적측면에서
>
>Suhosin 이 더낫을까요? mod_security2 가 낫을까요?
>
>보안적인측면과
속도적인측면에서
경험하셨던
>고수님으로 좀 어떤게 더 좋은건지 낫은건지 조언좀해주심
감사할게요
이건 자주 사용해보질 않아서 잘 모르겠네요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|
이전글 : 산이님 몇가지 답변좀 해주심 감사할게요^^
다음글 : 산이님 답변 감사해요^^
|
from 211.212.225.115
JS(Redhands)Board 0.4 +@
|